002. Financial Position

[젠포트 수익률 점검] 2021년 2월 말 기준

tgeom 2021. 3. 7. 22:27
SMALL

2월의 국내 주식시장도 1월 중후반과 비슷하게 들쑥날쑥한 장세를 보여줬다. 특히 2월은 미국채 10년 물의 빠른 금리 상승으로 인해 현재보다 미래의 매출, 이익, 현금흐름 등이 좋을 것으로 보이는 기업들의 주가가 변동성이 큰 한 달이었다.

 

그럼에도 운용하고 있는 6개의 젠포트 전략들 모두 절대수익을 달성한것뿐만 아니라 모두 시장을 이기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러모로 정신 없던 2월을 보내며 다행히 젠포트 덕분에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1월에는 바이오 기업들의 급락으로 인해 몇몇 전략들에서 손실을 얻어 전체적인 젠포트 수익률이 만족스럽진 않았지만, 관련 전략들을 개선하였고 2월의 변동성 있는 장세를 잘 이겨내 준 것 같다.

 

그럼에도 2월 반성할 부분이 생겨 기록으로 남겨놓으려 한다. 2월 25일 미국채의 급격한 금리 상승 속도에 나스닥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3%대 급락하였다. 2월 26일 아침 일찍 나스닥의 급락을 확인한 후 샤워를 하는 동안에도 그리고 KTX 안에서도 깊은 고민에 빠졌다.

 

바로 2월 26일은 젠 포트의 MT가 풀리는 날로 6개의 모든 전략들이 새로운 주식들을 매수하기 하는 날이었다. 나스닥의 급락이 국내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걱정되며 젠포트 운용을 임의적으로 중단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였다.

 

깊은 고민 끝에 지금까지 젠포트를 통해 고집해오던 인간의 심리를 배제한 기계적 매수/매도라는 원칙을 고수하지 않고, 2월 26일 젠트레이더를 실행중지하였다. 예상했던 것처럼 나스닥 급락 여파로 국내시장도 하락하였지만, 젠포트 6개의 전략 모두 가상매매에서는 꽤 큰폭의 수익을 올렸다.

 

젠포트 전략의 수익률이 올라서 원칙을 어긴 것에 대한 반성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대로 그날 수익률이 떨어졌다면 이런 반성을 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그날 이후 기계적 매수/매도에 개입하지 않기로 다짐하였다.

 

그 이후 지금 글을 쓰는 3월 7일 동안에도 나스닥 급락이 있었지만 마음의 큰 변화 없이 전략의 통계를 믿고 기계적 매수/매도 원칙을 고수해 나가고 있다. 전략들의 지난 2월 그리고 누적 수익률을 점검하면 다음과 같다.

 

 

1. tgeom_1

- 2월 수익률

tgeom_1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1 전략 누적 수익률

 

2. tgeom_2

- 2월 수익률

tgeom_2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2 전략 누적 수익률

 

3. tgeom_3

- 2월 수익률

tgeom_3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3 전략 누적 수익률

 

4. tgeom_4

- 2월 수익률

tgeom_4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4 전략 누적 수익률

 

5. tgeom_5

- 2월 수익률

tgeom_5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5 전략 누적 수익률

 

6. tgeom_6

- 2월 수익률

tgeom_6 전략 2월 수익률

 

- 누적 수익률

tgeom_6 전략 누적 수익률

 


미 연준의 FOMC 정기 회의와 네 마녀의 날이 예정되어 있는 3월에도 미국채 금리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변동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의 오류가 있다면 당연히 개선해야 되겠지만, 그 외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상황을 예단하여 전략을 중단하는 것만큼은 하지 않기 마음먹고, 통계를 믿고 원칙대로 운용할 것을 다시 한번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