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난하게 태어난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당신 잘못이다 / 빌게이츠
If you born poor, it's not your mistake.
But if you die poor, it's your mistake / Bill Gates
"
집 근처에 재래시장이 있어 저렴하게 장을 보고, 어르신들도 많이 본다.
그 시장 길 사이사이에 앉아 각종 채소, 상품들을 길바닥에 깔아놓고 물건을 판다. 딱 봐도 70-80은 넘어 보이시는 분들이다.
게다가 몸도 불편해보이시는 분들이 조금 더 싸게 사려고, 비싸게 팔려고 노력하는 것들이 보인다.
나쁜 생각이지만(욕할수도 있겠지만) "나는 저렇게 되지 말아야지", "늙어서 돈 없으면 자식도 안찾는다는데" 라는 생각을 항상 한다.
늙어서도 가난하지 않을 방법을 정말 심플하게 생각하면 두가지 방법 정도가 있을 것 같다.
방법 | 내용 | 장점 | 단점 |
2 | 노후 준비를 미리미리 한다. | 1. 일을 할 필요가 없다, 또는 2. 일을 하고 싶을 때만 한다.(안해도 그만) = 노예 탈출 |
1. 퇴근 후 시간 할애 2. 끊임없는 공부 |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겠지만, 현재 내가 속한 업종/업황을 고려해봤을 때, 은퇴 후에도 충분히 나를 필요로 하는 곳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투입시간 대비 소득도 더 높을 것 같다.
하지만! 이건 언제까지나 지금 상황에서 그렇다는 거지, 과연 30년 뒤에도 그럴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모르겠다.
무엇보다 빨리 경제적 자유를 이뤄 정년퇴직을 발로 걷어차고 회사에 사표를 던지려고 하는데, 은퇴 후에도 노예 생활을 다시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2번 방법은 은퇴자금을 미리 준비하는 것으로 끊임없는 공부가 그리고 실천이 필요하다.
내돈을 쓸 때는 현명하게/가성비 좋게 쓰려고 노력하는데, 더 중요한 투자는 대충 하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많다. (나역시도 그랬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월급쟁이들이 할 수 있는 은퇴자금 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은퇴자금 계산(목표 설정)
2. 필요한 돈을 달성하기 위해 투자
3. 투자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
1. 은퇴 후 필요한 생활 소득 결정(은퇴자금 산출)
위 공식을 곱씹어보면, 1)원금은 손대지 않고, 2)이자로만 생활하며, 3)물가상승률만큼 적립 하는 개념이다.
은퇴 후 연 필요 지출액(예, 3600 만원)
R: 은퇴 후 기대 수익률 (예, 8%)
i: 물가상승률 (예, 3%)
n: 남은 기간 (예, 30 년)
원금손실 없이 8 %의 수익을 올리면서 매달 300만원을 쓰려면 원금이 17.5억이 있으면 된다는 소리이다.
위와 같이 단순하게 계산하면 은퇴 후 연필요 지출액 별로 필요한 원금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임대료 등 추가적인 현금흐름을 발생시키면 더 풍족한 삶을 살 수 있겠지?)
표1. 은퇴 후 지출별 필요한 은퇴자금
월 지출 | 연지출 | 필요은퇴자금 |
300 만원 | 3600 만원 | 17.5 억 |
350 만원 | 4200 만원 | 20.4 억 |
400 만원 | 4800 만원 | 23.3 억 |
450 만원 | 5400 만원 | 26.2 억 |
예/적금 이율이 2~3% 인 현재, 연 8% 수익률의 가정이 터무니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쉬운 방법으로 KOSPI에 돈을 묻고 있었다면 평균 수익률은 얼마일까?
1980년 1월 4일 상장된 KOSPI 지수: 100
2020년 6월 4일 KOSPI 지수: 2151.18
N(햇수) = 약 40 년
연복리 수익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계산 공식을 적용하면,
시장에만 투자하여도 8%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펀드매니저 VS 마켓 선생님(Mr. Market)의 대결에서 마켓 선생님을 이기는 펀드매니저는 5% 미만이라는 말이 있다.
주식 뿐 아니라, 채권, 금,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하여 투자 한다면, 연 8%의 수익률이 달성하기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을 것 같다.
아직 필요한 돈을 달성하기 위한 투자방법, 공부 등에 대한 내용은 평생 해나가야겠지만,
이렇게라도 은퇴자금을 계산하였다는 것만으로도 먼가 은퇴에 한 발 다가선 기분이 든다.
과연 주위에 본인의 은퇴자금을 설정해 놓은 사람들이 몇명이나 있을까?
이제 은퇴자금을 모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들을 정리해야지.
1. 연금삼총사 (국민연금/연금저축펀드/개인퇴직연금)
2. 주식
3. 금, 채권, 달러, 등등
4. 부동산
'001. My investment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율적인 가계부 쓰기(Feat.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가이드 북) (0) | 2020.06.09 |
---|---|
스스로 보험 설계하기(Feat. 셀프보험설계, 금융감독원, 금감원, 생애주기별 금융생활 가이드 북) (0) | 2020.06.08 |
샤넬백을 샀다는 동기를 본 와이프 반응(feat. EBS 다큐 자본주의) (0) | 2020.06.06 |
연금저축계좌 이전(feat.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계좌이전) (0) | 2020.06.03 |
반성하되 후회하지 말자 (0) | 202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