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분산투자 3

[재무상태 점검] 2020년 8월 말 기준

벌써 2020년의 8월이 지나가고, 9월이다. 8월에 와이프님과 강원도로 휴가를 다녀왔다. 숙소는 하이원리조트로 구했는데, 위치가 참 구렸다. 강원도 바다도 보고 싶었고, 파도도 좋으면 오랜만에 서핑을 할 목적으로 강원도 여행을 계획했었는데, 하이원리조트가 위치한 정선은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절치 않았다. 강릉까지는 1시간 20분 걸렸고, 양양까지는 1시간 40분 정도 걸렸다. 거기에 재수없게 둘째날 양양으로 향하는 아침 고속도로에서 앞유리 정중앙에 돌빵(스톤칩)을 당했다. 앞유리를 순정품으로 교체하려고 알아보니 약 80만원 정도의 비용이 필요함을 알고 절망하였지만, 다행히 손상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에폭시로 메꿀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그나마 마음이 놓였다. 휴가 둘째날부터 기분이 팍 상했지만, 최대한..

[재무상태 점검] 2020년 7월 말 기준

"Cash is Trash / Ray Dalio" 7월 한달 간 다음과 같은 성과들이 있었다. 먼저, 연금저축계좌 포트를 지리적 그리고 자산별로 비율을 설정하여 리밸런싱 하였었는데, 7월 말 기준으로 모든 자산가격이 상승하였다. 개인계좌에서는 일부는 달러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달러는 올웨더포트폴리오의 개념을 기반으로하여 분산해 놓았다. 주식 비중이 약간 높으며, 주식은 AAPL에 거진 전부 투자한 포트폴리오이다. 7월 30일 발표된 애플의 어닝서프라이즈 분기실적 + 액면분할 공시로 인해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하여, 달러자산의 의미있는 수익률 상승이 있었다. (비록 환율은 쭉쭉 떨어지고 있지만... 달러를 벌었다고 정신승리) 거기에 금 가격도 웬만한 주식 수익률을 발로 차는 정도로 올라갔으며, 원자재, ..

하락을 대하는 자세 및 분산투자의 힘

" 우산과 짚신을 같이 팔자 " 오늘 KOSPI 및 KOSDAQ이 모두 하락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모두 매도하였지만 개인들이 매수하였다. 지난 3월의 장을 보는 것 같다. 어떤 특별한 Issue가 하락을 몰고왔는지 나는 모르겠지만, 코로나 재확산 또는 북한관련 risk 옵션 및 선물 만기일 등을 이유로 든다.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더불어 투자해야할 자산으로는 달러와 미국 국채를 이야기 한다. 표1. 자산 간 상관관계 2002.7 ~ 2019.1 KOSPI200 지수 금 미국 국채 달러/원 환율 KOSPI200 지수 1.00 0.13 -0.41 -0.44 *출처: 마법의 연금굴리기 표 1에서 확인가능한 자산간의 상관성을 그대로 보여주듯 오늘 환율은 오랜만의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국내 보유 ..

1